♡지음주택건설♡중개업소운영중♡

금리인상에 '내집 마련' 한숨.."저렴한 '주택대출' 없나요?" 본문

부동산뉴스

금리인상에 '내집 마련' 한숨.."저렴한 '주택대출' 없나요?"

부동산플래너(02-304-3137) 2022. 5. 8. 13:29
728x90
반응형

출처-뉴스1 

 

금리인상에 '내집 마련' 한숨.."저렴한 '주택대출' 없나요?"

16일 서울시의 한 은행 외벽에 부동산 담보대출 등 대출 안내 현수막이 걸려있다(자료사진) 2022.3.16/뉴스1 © News1 장수영 기자

 

집값만 해도 비싼데 금리 인상까지 겹치면서 내 집 마련을 생각하는 분들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는데요. 또 기존에 대출받은 분들 역시 변동 금리를 유지할지 고정형으로 갈아타야 할지 생각이 많아지는 시기입니다.

전 세계적 고물가에 미국 연방준비제도와 한국은행이 기준금리 인상을 이어가고 시중금리 역시 덩달아 오를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금융 소비자들의 계산도 복잡해지는 모습인데요.

◇'고정금리' 정책 모기지…금리 낮지만 소득조건 살펴야

만약 당장 내 집 마련을 생각하고 있다면 정책 대출 상품을 눈여겨볼 필요가 있습니다. 고정금리형 상품 위주인 데다 시중에 비해 금리도 낮은 편이기 때문입니다.

대표적인 상품으로는 주택도시기금의 디딤돌대출이 있는데요. 디딤돌대출은 고정금리나 5년 단위 변동금리로 대출을 받을 수 있는 상품입니다. 금리는 10~30년인 만기 기간과 소득 수준에 따라 2.15%~3.00% 사이에서 적용됩니다.

다만 정책적 지원 타깃이 있는 만큼 본인이 그에 해당하는지도 같이 살펴야 합니다.

디딤돌대출은 부부합산 연소득이 6000만원 이내에 드는 무주택자여야 하며 별도의 자산 조건도 충족해야 신청이 가능합니다. 주택도 가격은 5억원 이내, 전용면적은 85~100㎡ 안에 들어야 하고요. 소득 기준은 생애최초나 신혼부부, 2자녀 이상이면 7000만원 이내로 늘어납니다.

또 다른 정책 금융 상품인 보금자리론은 디딤돌 대출에 비해 금리는 높지만 대출 문턱은 좀 더 낮은 편인데요.

보금자리론은 한국주택금융공사이나 은행을 통해 접수할 수 있으며 금리는 4.1~4.4%, 최장 대출 만기는 40년입니다. 조건에 따라 최대 0.8%p 정도의 우대 금리를 적용해 금리를 추가적으로 낮출 수도 있습니다.

배우자와 합산한 연 소득이 7000만원 이하인 무주택·1주택자여야 신청이 가능하고요. 혼인 7년 이내인 신혼가구나 자녀 3명 이상인 다자녀가구는 연 소득이 각각 8500만원, 1억원에 들어도 접수할 수 있습니다.

또한 주택이 시세와 감정평가액, 매매가 모두 6억원 이내에 들어야 하고요. 대출한도는 다자녀 가구 최대 4억원, 나머지는 3억6000만원까지 가능합니다.

이같은 정책 금융 상품은 국토교통부 고시 같은 정부 결정으로 움직여 시장보다 금리인상 속도도 늦다는 게 통상적인 인식인데요. 다만 추후 기준금리 등의 인상에 따라 금리가 오를 수 있다는 점은 주시해야 합니다.

예컨대 지난해 하반기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인상하기 시작한 이후, 국토교통부는 같은 해 11월 디딤돌대출 금리를 기존 1.85%~2.4%에서 2.0~2.75%로 한 차례 올린 바 있습니다. 이어 지난 4월에는 현재 수준으로 금리가 또다시 인상되기도 했습니다.

주상영 금통위원회 의장 직무대행이 14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를 주재하고 있다.(자료사진) 2022.4.14/뉴스1 © News1 사진공동취재단

◇갈아타기 할땐 중도상환수수료·대출한도 따져봐야…전용 정책상품도

기존 대출이 있는 경우에도 고정금리로 갈아탈지 여부를 고민하시는 분들이 계실 텐데요. 조건이 까다롭지만 정책 금융 상품 가운데에도 갈아타기 상품이 있습니다.

주금공이 운영하는 '더나은 보금자리론'이 그것인데요. 금리는 일반 보금자리론과 같지만, 변동금리나 만기일시상환 방식으로 받은 주택담보대출을 고정금리나 분할 상환 방식으로 갈아타게 하기 위해 출시된 상품입니다.

따라서 기존 대출 상품이 변동금리 또는 만기일시상환 방식이어야 합니다. 또 은행 같은 제1금융권이 아닌 보험사 같은 제2금융권에서 대출받은 상품이어야 신청이 가능합니다.

이에 해당하지 않는다면 대체로 은행권 고정금리(혼합형) 상품으로 갈아타는 것을 고려하실 것 같은데요. 이 때 '과연 지금같은 금리인상 기조가 언제까지 이어질까' 외에도 고려해야 할 사항이 있다고 합니다.

중도상환 수수료도 그런 사항 중에 하나인데요. 3년 안에 다른 은행 주담대 상품으로 갈아타게 되면 최대 1.2%의 수수료를 부담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같은 은행 상품의 경우에는 수수료가 없는 만큼, 다른 은행 혼합형 금리가 더 낮다고 따져보지 않고 갈아타면 오히려 손해를 볼 수도 있습니다.

대출 한도도 따져봐야 하는데요. 예컨대 올해부터 시행된 차주단위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40%가 적용되면 대출 가능 금액이 오히려 줄어들 수 있는 만큼 당장 상환해야 하는 부담액이 커질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