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음주택건설♡중개업소운영중♡

"내년 집값 2.5% 빠진다… 전세는 0.5% 반등", 역전세 끝나나 본문

부동산뉴스

"내년 집값 2.5% 빠진다… 전세는 0.5% 반등", 역전세 끝나나

부동산플래너(02-304-3137) 2022. 11. 3. 10:07
728x90
반응형

출처-머니투데이

 

"내년 집값 2.5% 빠진다… 전세는 0.5% 반등", 역전세 끝나나

 

 

건설산업연구원 전망, 내년 건설 수주도 7.5% 감소… 4년 증가세 마감

내년 전국 집값이 평균 2.5% 하락하는 반면 전세가격은 0.5% 상승한다는 전망이 나왔다. 매수 수요가 줄고 임대차 수요는 늘어 임대인들이 월세가격을 올리면 그간 외면받았던 전세도 하락세가 끝날 것이란 분석이다.

PF(프로젝트 파이낸싱) 부실 우려로 건설 경기가 급속히 냉각되고 있는 가운데 내년 국내 건설수주는 7.5% 급감할 것으로 내다봤다. 비주택 부문을 중심으로 민간수주 감소폭이 9%에 이를 것이란 예측이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원장 이충재)은 2일 강남 논현동 건설회관에서 '2023년 건설·부동산 경기전망 세미나'를 개최하고 이 같이 전망했다.

내년 전국 집값 2.5% 내린다… 임차 수요 늘어 전세 하락세 종료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이하 건산연)은 내년 주택 매매가격이 수도권은 2.0%, 지방은 3.0% 하락해 전국 평균 2.5% 하락할 것으로 예상했다. 절대적 주택 가격 수준이 높은데다 높은 금리가 한동안 이어질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하방압력이 크다는 분석이다 .

김성환 건산연 부연구위원은 "지난달 28일 발표된 주택 관련 규제 완화로 기존보다는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보이지만 시장의 흐름을 바꿀 정도의 수요 유입을 기대하기는 어렵다"며 "이번 규제 완화는 1주택자를 주택 구매의 잠재 수요로 포섭했으나, 1주택자 수요가 현재 시장을 부양할 수 있을 정도의 규모는 아니다"라고 밝혔다.

그러나 전세가격은 2023년 매매수요의 감소로 인해 반등이 예상된다고 봤다. 월세 거래가 증가하면서 임대차 시장 내에서 상대적으로 전세의 입지가 축소되며 가격이 하락했지만 임대차 전반의 수요가 증가하고 월세가격이 가파르게 오르는 만큼 전세가격이 하락을 지속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반기별로는 상반기에 판매 유인이 더 크고 하반기에 금리 인하 등에 대한 기대가 있는 만큼 상대적으로 상반기가 하반기보다 더 어려워 상저하고의 흐름을 보일 것으로 전망했다.

내년 분양물량은 낮은 분양가에 대한 수요가 이어지겠으나, 공급 측면에서 비용 상승으로 낮은 분양가를 유지하기 어려워 전반적으로 27만호에 그칠 것으로 봤다. 올해 분양 예상 물량은 31만호다. 옥석가리기가 심화되면서 인허가도 내년에는 올해보다 3만호 줄어 43만호에 그칠 것으로 예상했다.

건산연은 주택 경기가 변곡점에 있는만큼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나 과거의 위기론을 맹신할 필요는 없다고 선을 그었다. 김 부연구위원은 "그간 정부의 각종 규제로 인해 주택시장 참여자들의 재무 건전성이 양호하다"며 "경제 위기론을 참고하되, 맹신할 필요는 없다"고 했다.

내년 국내 건설수주 7.5% 급감해 206조원… "정부 선제적 위기 대응해야"


건산연은 내년 국내 건설수주는 올해보다 7.5% 감소해 206조8000억원에 그칠 것으로 전망했다. 정부의 SOC 예산이 10% 줄었고 기준금리 상승과 시장의 불확실성 확대로 건설수주 감소가 불가피하다는 분석이다. 국내 건설수주는 지난 2019년부터 2022년까지 4년 연속 증가해 2022년 223조5000억원으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한 바 있다.

박철한 건산연 연구위원은 "내년에는 정부 SOC 예산이 10% 이상 감소하고 기준금리 급등과 국내외 정세 악화 등의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며 "결국 2019년부터 4년간 지속된 증가세를 마감하고 3년래 가장 낮은 실적을 기록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발주 부문별로 공공 수주가 3.1% 감소하고 민간 수주도 9.0% 줄어 부진할 전망이다. 공종별로 살펴보면 토목과 주택 수주가 각각 3.8%, 6.3% 감소, 비주택건축 수주는 11.5% 감소가 예상된다.

한편 2023년 건설투자의 경우 전년 대비 0.1% 증가에 그칠 전망으로 특히 상업용 건물투자와 토목투자 부진이 예상된다. 그마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반도체 공장 준공 영향으로 증가세를 간신히 유지할 전망이다.

건산연은 금리 인상과 부동산 PF사업에 대한 금융규제 강화로 개발사업 전반에서 신용경색 발생한 상황 하에서 건설 금융시장 안정화 노력과 전략적 재정 운용, 주택시장 연착륙을 위한 과감한 규제 완화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박철한 연구위원은 "금리인상과 부동산 PF사업에 대한 금융규제 강화로 개발사업 전반에서 신용경색이 나타나고 있다"며 "PF 시장 대출 연장 거부로 공사비 확보가 어려운 건설사가 증가하고 연대 보증으로 인한 부도 위험이 커져 정부의 적극적인 위기 대응 및 대내외 시장신뢰 확보가 관건"이라고 했다.

반응형